LG생활건강 후, 올해 누적 매출 1조원 돌파
등록연 매출 1조1600억원 예상
2003년 론칭 후 14년만의 성과
차별화 한 한방 화장품과
궁중문화 접목한 마케팅 효과


LG생활건강은 궁중화장품 브랜드 후가 3일 매출 마감 기준으로 올해 누적 매출 1조원을 돌파한다고 밝혔다. 회사 측은 올해 전체 연 매출을 1조1600억원으로 예상하고 있다.
국내 화장품 단일 브랜드로 연 매출 1조원을 달성한 것은 지난해 아모레퍼시픽의 설화수에 이어 후가 두 번째다.
2003년 1월 첫 출시 이래 14년 만의 성과로, 국내 화장품 단일 브랜드 중에서는 가장 빠른 속도로 매출 1조원을 돌파한 것이라고 LG생활건강 측은 설명했다.
후는 2009년 연매출 1000억원을 넘어선 이래 2013년 2000억원, 2014년 4000억원을 경신했으며, 지난해에는 연매출 8000억원을 돌파하며 기하급수적으로 성장해왔다. 해외 시장에서도 중국, 싱가폴, 홍콩 등 13개국에서 높은 성장세를 이루고 d있다.
후의 성장세에는 차별화 한 한방 화장품과 궁중 문화를 접목한 브랜드 이미지, 고급화 전략 등이 주효했다.
후는 한방연구소를 통해 궁중 의학서적에 기록된 처방을 제품에 적용하고 있다. 엄선된 한방 원료를 사용하며 아시아 여성 피부 특성에 맞는 제형의 제품을 선보이는 중이다. 대표제품은 ‘공진비단’ ‘경옥비단’ ‘청심비단’ 등의 3가지 궁중 한방처방에 ‘초자하비단’을 더한 고기능 한방 에센스 '비첩 자생에센스'다.
패키지 역시 궁중 문화유산을 접목해 화려하고 세련된 디자인으로 세계 시장에서 높은 인기를 끌고 있다.
‘비첩 자생에센스’는 보물 1055호 백자 태항아리에서 모티브를 얻은 곡선미를 패키지에 담았고, 최고급 크림 ‘후 환유고’는 국보 제 287호인 백제 ‘금동대향로’에서 턱 밑에 여의주를 끼고 웅비하는 봉황의 모습을 차용해 금속공예로 제작해 달았다.
마케팅 역시 궁중문화를 접목해 차별화 하고 있다. 올 한해 서울의 4대 궁궐에서 ‘왕후의 사계’를 주제로 궁중문화 캠페인을 펼치고 있고 계절별로 덕수궁, 경복궁, 창경궁, 창덕궁에서 궁중문화체험 프로그램도 마련한다.
후는 해외, 특히 중국에서 높은 인기를 얻고 있다. 2006년 중국에 론칭흔 후는 고급화 전략을 펼치며 상해의 빠바이빤(八百伴), 쥬광(久光), 북경의 SKP 등 대도시 최고급 백화점을 중심으로 매장을 확대하고 있다. 현재 중국 내에 150개 매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지난해에는 중국에서 전년 대비 197%의 매출 신장을 달성했다.
LG생활건강 관계자는 “궁중화장품 ’후’는 올해 들어 약 10개월만에 누적 매출 1조원을 돌파했으며, 올해 연매출 1조 1600억원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며 “향후에도 여성 고객의 마음을 사로잡는 차별화된 품질과 럭셔리 마케팅을 지속 전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혜인 기자 hij@
관련기사

- 설화수, 9번째 설화문화전 개최...’백일홍 설화’ 재해석 작품 전시
- 설화수, 연매출 1조원 돌파…국내 화장품 브랜드 최초
- 후·설화수, 면세점 매출 선두 등극…루이뷔통·샤넬 제쳤다
- 설화수, 최대 규모 플래그십스토어 연다…글로벌 명품 브랜드 도약
- 설화수, 中 매장 100호점 돌파
- LG생활건강, 상반기 매출 첫 3조원 돌파
- ‘K뷰티의 힘’ 아모레퍼시픽·LG생활건강, 연매출 6조원 정조준
- LG생활건강, 25기 생활용품 주부모니터 요원 모집
- LG생활건강, 애완용품 시장 진출…온라인 브랜드 론칭
- 차석용 LG생활건강 부회장, 12년째 영토확장 본능
- [연봉공개]차석용 LG생활건강 부회장, 상반기 보수 24억400만원
- LG생활건강, 美 회사와 헤어케어 합작사 ‘LG 파루크’ 설립
- LG생활건강·마크로젠, 소비자 유전체 시장 공동 진출
- LG생활건강, 3분기 매출 1조5635억원…사상 최대 실적
- LG생활건강, 존슨앤존슨 오랄케어 브랜드 아시아·오세아니아 사업 인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