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 서울 23℃

  • 인천 25℃

  • 백령 22℃

  • 춘천 24℃

  • 강릉 16℃

  • 청주 24℃

  • 수원 24℃

  • 안동 22℃

  • 울릉도 16℃

  • 독도 16℃

  • 대전 25℃

  • 전주 24℃

  • 광주 27℃

  • 목포 23℃

  • 여수 25℃

  • 대구 26℃

  • 울산 21℃

  • 창원 26℃

  • 부산 23℃

  • 제주 24℃

김석준 쌍용건설 회장 공격+관리경영 나선다

[건설&CEO]김석준 쌍용건설 회장 공격+관리경영 나선다

등록 2017.04.12 08:47

수정 2017.06.20 12:45

김성배

  기자

글로벌 명가 재건 위한 공격경영 중에도법정관리 상장폐지 등 쓰린아픔 기억"관리 부족했다" 분석···리스크제로 도전삼성출신 영입부터 인재관리까지 힘실어

김석준 쌍용건설 회장(사진제공=쌍용건설)김석준 쌍용건설 회장(사진제공=쌍용건설)

김석준 쌍용건설 회장이 글로벌 명가 재건을 위한 공격경영에 나서면서도 관리경영에도 유달리 공을 들이면서 업계의 비상한 관심을 끈다. 올해 매출목표를 전년대비 50% 이상 늘리는(1조3000억원) 등 외형확장에 올인하면서도 원가관리나 미분양 관리 등 리스크 관리도 그가 직접 챙기며 단단한 조직과 글로벌 시스템 구축에 열을 올리고 있어서다. 지난 2015년 국부펀드인 두바이투자청(ICD)을 새 주인으로 맞아 해외에서 최근 2년간 2조원 이상 수주하는 등 승승장구하고 있지만, 지난 2013년말 국내 건설경기 침체에 따른 유동성 위기로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에 들어가는 등 국내사업 실패의 쓰라린 경험을 재현하기 않기 위해선 원가나 조직, 미분양부터 단단히 챙겨야 한다는 그의 시각이 반영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최근 삼성물산 간부 출신인 김동욱 상무(주택사업 담당)의 전격 영입이 가장 대표적이다. 쌍용건설이 기존 직원이나 차·부장급이 아닌 회사의 임원급으로 삼성물산 (건설부문) 출신을 영입한 첫 사례로 알려진 김 상무 스카웃은 김석준 회장이 직접 면접을 보는 등 그가 직접 챙긴 것으로 알려졌다. 무엇보다 김석준 회장의 김 상무 영입 의도가 리스크 관리를 비롯해 브랜드 관리를 위한 김 회장의 전략적 승부수라는 의견이 많다. 일견 주택영업 강화나 마케팅 보강이라는 시각도 있지만, 김 상무가 삼성물산에서 영업보다는 리스크나 브랜드 관리에 치중했다는 점에서 그가 김 회장의 관리경영에 힘을 보탤 가능성이 높다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더욱이 그가 내로라는 관리의 삼성출신인 점을 감안해서도 당장 영업보다는 미분양 관리를 비롯해 글로벌 선진 시스템 도입에 더 치중할 거라는 얘기가 벌써부터 나오고 있다.

국내외 원가관리에도 김 회장은 적극적이다. 법정관리 당시 서울 우이동 콘도 등 일부 PF(프로젝트 파이낸싱)사업의 부실로 우발채무가 급증하면서 결국 회사가 상장폐지되는 등 회사 존폐의 위기를 겪은 이후 무엇보다 투명한 원가관리 등 현장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을 그가 뼈져리게 깨우쳐서다. 김 회장은 올해 신년사에서 "우리는 회생절차 이후 차입금 제로, 이자 제로, 국내 PF우발채무 완전해소, 안정적 캐쉬 카우 유지 등 재무적 안정성을 지속 개선시켜 나가고 있으며, 수익성을 더욱 키워야 한다. 협력업체 재정비와, 포지티브 시스템 운영 등 과거 불분명한 원가 상승의 재발 방지를 위해 체계적인 관리를 하고 있다"고 강조한 바 있다. 그러면서 "이제는 이와 같이 회사의 투명성과 건전성을 지키기 위한 체크앤 밸런스 기능들이 우리 조직에 제대로 뿌리내리고 자생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데 임직원 모두가 동참해야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수익성이나 영업력 증대로 중요하지만 가장 먼저 새는 돈이 없어야 법정관리 등 혹독한 시련의 전철을 밟지 않는다는 그의 소신이 반영된 언급으로 풀이된다.

김 회장은 인재 육성과 관리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글로벌 명가 재건을 위해선 최고의 인재육성이 가장 시급하다고 보고 있는 것이다. 최고의 인적 경쟁력은 회사 경쟁력과 동일하다고 보고 직원 교육과 훈련을 위한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개발·운영을 비롯해 관련 투자와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일례로 해외수주나 영업 현장에서 영어를 비롯한 현지어가 필수라며 사내에서 어학교육을 수시로 실시하는 등 차분하면서도 수려한 언변 교육에 올인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력 보강에도 적극적이다. 쌍용건설 정직원만 1000명에 육박하고 있음에도 올해 경력, 신입, 인턴 등을 포함해 모두 100여명이 넘은 인력을 더 보강할 것으로 알려졌다. 해외현지 인력등을 포함하면 조만간 1500여명을 단숨에 돌파할 것으로 업계에선 보고 있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영업력 강화나 외형강화에 올인하고 있는 듯 보이지만 김석준 회장의 눈은 사내 조직 강화와 관리에도 엄청난 공을 들이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기존 실패의 쓰라린 경험으로 오히려 관리 경영나 시스템 경영 도입에 더 힘을 주고 있다는 인상도 받는다. 그의 이런 양수겸장 행보가 수주나 매출 증가 등으로 빛을 발휘하게 될지 지켜봐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