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 업계 최초 '폐기물 매립 제로' 국제인증 받았다
등록익산·나주 사업장 UL Solutions의 '폐기물 매립 제로(ZWTL)' 인증 획득
익산-폐기물 재활용률 96% 달성 '골드', 나주-재활용률94% 달성 '실버'
자원선순환 위해 사업장 신·증설 시 '폐기물 매립 제로' 인증 적극 추진
" 전 사업장에 대한 폐기물 매립 제로화 전략을 지속 추진해 나갈 것 "


LG화학은 익산·나주 사업장 2 곳이 글로벌 안전과학회사 UL Solutions의 '폐기물 매립 제로(ZWTL, Zero Waste to Landfill)' 인증을 획득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에 LG화학 익산 사업장은 전체 폐기물의 96%를 재활용하는데 성공해 '골드' 등급을 받았으며 나주 사업장은 재활용률 94%를 달성해 '실버' 등급을 받았다.
'폐기물 매립 제로' 인증은 기업의 자원재활용 노력을 평가하는 제도로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매립하지 않고 재활용하는 비율에 따라 △실버(재활용률 90∼94%) △골드(95∼99%) △플래티넘(100%) 등급을 부여한다.
LG화학 익산 양극재 사업장은 제조과정에서 사용 후 버려지는 세라믹 용기를 전량 재활용으로 전환해 지난해 발생한 폐기물 약 2,100톤 가운데 96%를 재활용하고 매립율을 제로화(0%)하는데 성공했다.
나주 사업장은 생산공정에서 사용하는 세척액을 재사용하는 공정을 도입해 연간 폐기물 발생량을 약 63톤 가량 절감했으며, 폐기물 모니터링을 통해 2018년부터 재활용률을 90% 이상으로 높게 유지하는 등 자원순환 노력을 지속해왔다.
국내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의약품 제외)의 사업장 폐기물 재활용률 평균이 61%* 수준임을 감안했을 때 인증을 획득한 익산·나주 사업장의 재활용률은 동종 업계 대비 약 30% 이상 높은 수준이다.
LG화학은 주요 사업장에 환경안전 통합관리 시스템을 도입해 폐기물 발생부터 처리까지 전 과정을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향후 사업장 신·증설 시 '폐기물 매립 제로' 인증을 적극 추진할 방침이다.
LG화학은 폐플라스틱에서 기름을 뽑아내는 열분해유 사업 등 경영활동 전반에서 폐기물을 재활용하는 사업을 확대하고 있고, 협력사·물류·폐기물 등 간접배출 영역(Scope3)까지 선도적으로 환경영향 평가(LCA, Life Cycle Assessment)를 도입하는 등 지속가능한 공급망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LG화학 CSEO(최고안전환경책임자) 김영환 전무는 "LG화학은 탄소 감축을 위해 폐기물을 자원과 에너지로 전환하는 자원순환 과제를 적극 수행하고 있으며, 전 사업장에 대한 폐기물 매립 제로화 전략을 지속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윤경현 기자 squashkh@
관련기사

- [구광모 취임 4주년]LG그룹 '위기 속 기회 찾기' AI·전장 앞으로
- 구광모 "경쟁에서 이길 수 있는 R&D 투자해야"…미래 먹거리 '친환경' 낙점(종합)
- LG 구광모, 플라스틱·폐배터리 미래사업에 추가한 배경은
- 글로벌 악재에 'LG엔솔' 투자 제동…'SK이노·삼성SDI' 美 투자 척척(종합)
- LG화학·삼표시멘트·현대로템, 폐플라스틱 자원화 위해 뭉쳤다
- [공시]LX엠엠에이, LG화학과 2062억원 규모 공급계약 체결
- LG엔솔, 日 상용차 이즈노 '1兆' 규모 배터리 공급한다···내년 출시 차량 적용
- LG화학, 3억달러 글로벌 그린본드 발행
- LG화학,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재생에너지 전환·폐기물 재활용"
- [공시]LG화학, '2021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