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4월 19일 금요일

  • 서울 14℃

  • 인천 10℃

  • 백령 10℃

  • 춘천 12℃

  • 강릉 17℃

  • 청주 13℃

  • 수원 10℃

  • 안동 12℃

  • 울릉도 14℃

  • 독도 14℃

  • 대전 13℃

  • 전주 13℃

  • 광주 11℃

  • 목포 12℃

  • 여수 14℃

  • 대구 15℃

  • 울산 12℃

  • 창원 14℃

  • 부산 13℃

  • 제주 11℃

한화큐셀, 경남 남해 영농형 태양광 시범단지서 벼 추수

한화큐셀, 경남 남해 영농형 태양광 시범단지서 벼 추수

등록 2020.10.13 16:27

이세정

  기자

사진=한화큐셀 제공사진=한화큐셀 제공

한화큐셀은 지난 12일 한국남동발전과 경남 남해 관당마을 영농형 태양광 시범단지에서 벼 추수 행사를 가졌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추수식에는 영농형 태양광 모듈을 제공한 한화큐셀과 농어촌상생협력기금을 조성해 주민참여형 영농형 태양광 사업을 지원한 한국남동발전, 농지를 제공한 관당마을 사회적협동조합과 시공협력업체인 클레스(KLES) 관계자 약 20명이 참여했다.

영농형 태양광 발전소는 지난해 6월 100kW(키로와트) 규모로 남동발전 농어촌상생협력기금으로 지어진 6곳의 시범단지 중 하나다. 발전소 수익금은 마을발전기금으로 사용한다.

이 단지의 상부에서는 태양광 발전을 하고 하부에서는 작물을 재배한다. 농지를 유지하면서 태양광 발전까지 할 수 있어 국토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또 농업인구가 감소하고 고령화 되는 등 영농여건이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는 가운데 영농형 태양광은 영농수익과 함께 부가적으로 전력 판매수익을 얻을 수 있어 각광 받고 있다.

한화큐셀에 따르면 영농형 태양광은 작물 생육에 필요한 광합성량을 보전한다. 작물 생육에 최대로 필요한 광합성량의 임계치인 광포화점을 초과하는 빛은 작물의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이를 태양광 발전에 이용한다.

한화큐셀은 영농형 태양광에 적합하도록 기존 육상 태양광 모듈 크기의 절반에 해당하는 소형 모듈을 제작했다. 이 모듈은 태양광 하부의 음영을 최소화해 농작물에 필요한 광합성량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이앙기, 콤바인 등 경작 기계를 사용할 공간도 확보했다. 육상 태양광보다 모듈이 높게 설치되기 때문에 작은 모듈을 사용해 구조물 하중을 줄여 안전성을 높인다.

한국남동발전과 국립경남과학기술연구소가 조사한 결과 영농형 태양광 부지에서는 중금속 물질이 검출되지 않았고, 생산된 농작물 역시 잔류 농약이 나오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기내 농경지는 약 160만ha(헥타르)이다. 이 중 5%에 영농형 태양광을 설치하면 약 32GW(기가와트)의 발전소를 지을 수 있다. 이는 4인 기준 917만 가구가 연간 사용하는 가정용 전기 양이다.

또 지난 7월에 발표한 그린뉴딜 계획에서 2021년부터 2025년까지 신규 설치하기로 한 태양광발전과 풍력발전 목표인 약 25GW의 130%에 이르는 수치다.

효율적인 국토 활용과 농가 상생 그리고 시장 잠재력 가지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농지법 시행령으로 인해 영농형 태양광이 활성화될 조건을 갖추지 못한 실정이다.

한화큐셀 측은 “농지법 시행령은 영농형 태양광의 타용도 일시사용허가 기간을 최장 8년으로 제한해 8년이 지나면 수명이 절반 이상 남은 발전소를 철거해야 한다”며 “이는 최소 20년 이상 운영이 가능한 발전소를 8년만 운영해 전기 생산 발전 단가(LCOE5))를 높이는 비효율성을 초래한다”고 지적했다.

뉴스웨이 이세정 기자

ad

댓글